2. 곤충의 분류 및 식용곤충의 전망
1) 곤충의 분류
곤충은 ①천적곤충, ②방화곤충, ③애완학습 곤충, ④식·약·사료용 곤충, ⑤환경정화용 곤충 등 5가지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① 천적곤충
- 천적곤충은 포식자와 기생자는 초식자를 먹고사는 육식성 곤충이며, 천적곤충의 사육에는 보통 식물에서 초식자를 생산 하고, 그 초식자를 먹이로 천적곤충을 생산합니다.
- 천적생산에는 먼저 방제인자를 선발하고, 사육기간 중에는 품질관리를 잘 해야 합니다.
② 방화곤충
- 꽃가루를 매개하여, 특히 농작물의 결실에 도움을 주는 유용한 곤충류이며, 자연생태계에서 식물의 꽃과 함께 오랜 세월을 거쳐 같이 진화하였읍니다
- 사과나무, 배나무 등과 같은 과수를 비롯하여 각종 식물의 꽃에 모이는 나비, 벌, 파리, 꽃 등에, 꽃하늘소등을 일컬으며 방화곤충들은 일시적이거나 우연한 기회에 꽃을 방문하는 경우도 있으며, 화분매개 작용과는 전혀 상관이 없거나 때로는 꽃을 가해하기도 하는 식물해충도 일부가 포함되고 있어 화분매개곤충과 구분됩니다.
③애완학습 곤충
사람들이 곁에 두고 기르면서 즐거워할 뿐 아니라, 자연을 이해하고 공부하면서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받는 곤충을 말하는데, 국내에서는 주로 장수풍뎅이류와 사슴벌레류 및 나비류의 인기가 높은 편이다.
④식·약·사료용 곤충
식용곤충은 섭취가 가능한 곤충으로,음식으로 활용하는 식량 자원입니다.
세계여러나라에서 식용곤충으로 지정되었거나,식용하고 있는 곤충류들이 많이 있지만, 대한민국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정한 식용곤충으로는 벼메뚜기, 누에번데기, 갈색거저리, 흰점박이 꽃무지, 귀뚜라미, 장수풍뎅이, 백강잠 등 7종입니다.
이 글의 주제는 식용곤충이므로 앞으로 식용곤충에 대해서 이야기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⑤환경정화용 곤충
동물의 배설물, 사체, 죽은 나무와 낙엽 등 모두는, 분해자 역할을 하는 곤충들에 의하여 미생물의 분해 작용 이전에 먹이로 활용되어 변환됩니다. 이 같은 역할을 하는 곤충 가운데 환경에 직접적인 청소효과 및 이익을 가져다주는 곤충을 환경정화곤충이라고 최근 정의하기 시작하였습니다
2)식용곤충의 종류
현재 국내에서 식용 가능한 곤충은 총 10여종입니다.
우리가 오래 전부터 먹었던 벼메뚜기, 누에번데기, 백강잠부터 갈색거저리 애벌레(고소애),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꽃뱅이) , 장수풍뎅이 애벌레, 쌍별 귀뚜라미, 아메리카왕거저리 애벌레, 수벌번데기, 풀무치가 있습니다.
그중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정한 식용곤충으로는 벼메뚜기, 누에번데기, 갈색거저리 (고소애) , 흰점박이 꽃무지 (꽃뱅이) , 귀뚜라미, 장수풍뎅이, 백강잠 등 7종입니다.
특히 갈색거저리 애벌레는 고소애라는 애칭처럼, 고소한 맛이 뛰어납니다.
잠시 특징들을 살펴보겠읍니다.
- 벼메뚜기: 메뚜기는 섭취 가능한 곤충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종류로,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에서 널리 섭취됩니다. 고단백이며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 누에번데기:누에는 뽕잎을 섭취하여 최대 크기로 성장하며, 몸 안에 많은 영양분을 저장한 상태에서 번데기로 변합니다.즉 번데기는 성체로 우화하기 위해 가장 많은 에너지를 저장한 상태이기 때문에, 식용곤충으로서 가장 가치가 높고 맛이 좋은 상태입니다.
- 갈색거저리 (고소애): 이 벌레의 유충을 바로 밀웜이라고 하는데, 식용 시판명으로는 고소애라고 합니다.귀뚜라미 등과 함께 먹이용 벌레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는 생물로,거저리의 일종으로 딱정벌레류이며, 성충의 크기는 사람 새끼손가락 손톱급으로 작으며 이름처럼 갈색 계열 색깔을 띠고있습니다.
- 흰점박이 꽃무지 (꽃뱅이): 일반적으로 굼벵이로 불리는 꽃무지의 유충이 이 종의 유충이다. 풍뎅이과 꽃무지아과의 곤충으로, 유충은 부엽토를 주식으로 삼고, 성충은 수액과 과일을 주식으로 삼으며, . 번데기가 될 때는 자신의 배설물과 부엽토를 이용한 고치를 만듭니다.
- 귀뚜라미: 체색은 흑갈색 또는 갈색이며, 몸 형태는 원통형입니다. 귀뚜라미는 연 1회 산란하며 불완전변태과정을 거쳐 늦여름에서 가을까지 성충시기를 보내다가 알 상태로 월동을 합니다. 잡식성이며, 밤에 주로 활동하는 야행성이며 주로 다른 곤충 또는 식물을 먹고 삽니다. 귀뚜라미는 식용으로 활용되는 생물자원이지만, 가을을 대표하는 곤충으로 밤에 내는 소리를 외로움, 나그네의 설움, 아름다운 음악 등으로 묘사한 문학작품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많이 있읍니다. 또한, 전통적으로 한방에서 전통약재로 쓰였으며 애완곤충으로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 장수풍뎅이: 몸 길이는 30-54mm(머리뿔 길이 제외), 30-85mm(머리뿔 길이 포함, 최대 90mm)로 체형은 굵고 튼튼하며, 몸 색깔은 전체적으로 밤색을 띱니다. 힘이 매우 강해서 자신의 몸무게의 50배가 넘는 물건도 들거나 끌 수 있으며 낮에는 땅 속에 숨어 있다가 밤에 나와서 활동합니다. 주로 졸참나무, 상수리나무의 수액을 먹으며 살며, 장수풍뎅이의 수명은 성충이 되어서 대략 1-3개월 정도 삽니다. 애완용 및 약용으로 사육합니다.
- 백강잠: 누에를 키우다 보면 하얗게 말라 죽어 있는 것들이 있는데 이것을 백강잠이라고 합니다. 정확하게는 백강잠은 누에가 백강병균의 감염 또는 인공접종에 의해 백강병으로 경직돼 죽은 충체를 말하며, 백강잠 색은 흰색[White]이고 단단하게 굳은[Strong] 누에라는 의미입니다. 한의약에서는 백강잠을 약으로 많이 사용했습니다

식·약용분야에선 곤충을 활용한 요리와 제과, 제빵, 의약품, 사료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원료공급의 원활한 수급을 위한 곤충 사육기반도 증가 할 것으로 전망 됩니다.
이를 통해 지구 환경의 보전과 식량 안보를 강화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읍니다.
이번 글은 여기에서 마치며.. 다음 글은 식용곤충의 활용사례에 대하여 살펴보겠읍니다.
감사합니다.
'식용곤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거저리 술담그기(흔한 실수,중요 요소) - 모난도리의 하루 (0) | 2024.09.11 |
|---|---|
| 갈색거저리(밀웜) 술담그기-모난도리의 하루 (3) | 2024.09.11 |
| 식용곤충의 잠재적 웰빙 효과 6가지 (4) | 2024.09.10 |
| 식용곤충에 대하여 - 활용 및 사례 (0) | 2024.03.22 |
| 식용곤충에 대하여 - 개요 (0) | 2024.03.21 |